Accessing Text Features 텍스트 기능에 접근하기
Various text editing features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places:
– In the formatting palette (accessed by tapping on the paintbrush).
– In the extended keyboard row.
– Using the buttons that appear either side of the predictive text row (iPad only).
– In the Edit menu (the black popover that appears when you tap and hold in the text).
다양한 텍스트 편집 기능은 다음 위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서식 팔레트(페인트 브러시 아이콘을 탭하여 액세스).
– 확장된 키보드 행에서.
– 자동완성 텍스트 행의 양쪽에 나타나는 버튼 사용(iPad만 해당).
– 편집 메뉴에서(텍스트를 길게 누르면 나타나는 팝업)
Some of those features include:
이러한 기능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Split: Split the current document in two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available via the Edit menu)
나누기 : 현재 커서 위치에서 현재 문서를 두 개로 분할합니다(편집 메뉴를 통해 사용 가능).
• Comments and Footnotes: Attach comments and footnotes to the text (available in the extended keyboard row, the predictive text row, and in the Edit menu). Note that footnotes look like comments in Scrivener but become real footnotes when you export your text to a word processor using Word or RTF format (or they become endnotes when printing directly from Scrivener or exporting to PDF format). To open a comment or footnote—such as the ones attached to the bold text at the start of this paragraph—either double-tap on them while they are not selected, or use the Edit menu while they are selected.
코멘트(메모) 및 각주 : 텍스트에 코멘트 및 각주를 첨부합니다(확장 키보드 행, 자동 완성 텍스트 행 및 편집 메뉴에서 사용 가능). 각주는 스크리브너의 코멘트처럼 보이지만 Word 또는 RTF 형식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워드 프로세서로 내보낼 때 실제 각주가 됩니다(또는 스크리브너에서 직접 인쇄하거나 PDF 형식으로 내보낼 때는 미주가 됩니다). 이 단락 시작 부분의 굵은 텍스트에 첨부된 것과 같은 코멘트나 각주를 열려면 코멘트 또는 각주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두 번 탭하거나 선택한 상태에서 편집 메뉴를 사용합니다.
• Inline Annotations and Footnotes: Inline notes are ranges of regular text that are marked up with bubbles—like the bold text at the start of this paragraph. Inline footnotes get turned into real footnotes when exported to RTF or Word (or endnotes when printing or exporting to PDF); inline annotations can be turned into comments or removed from the text when compiling, or are printed inside square brackets when printing. (Available from the extended keyboard row and the predictive text row on the iPad.)
인라인(내부) 주석 및 인라인(내부) 각주 : 인라인 노트는 이 단락 시작 부분의 굵은 텍스트와 같이 말풍선으로 표시된 일반 텍스트 범위입니다. 인라인 각주는 RTF 또는 Word로 내보낼 때 실제 각주로 변환됩니다(또는 PDF로 인쇄하거나 내보낼 때는 미주). 인라인 주석은 컴파일 시 코멘트로 바꾸거나 텍스트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인쇄 시 대괄호 안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의 확장 키보드 행과 자동 완성 텍스트 행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Links: You can add links to web pages or to other documents inside your Scrivener project (available via the extended keyboard row and the predictive text row on the iPad). To open a document link, double-tap on it, or select it and press to bring up the black edit menu and choose “Open Link”. On newer versions of iOS you can also simply long-press on a link to open it.
링크 : 스크리브너 프로젝트 내의 웹 페이지 또는 다른 문서에 대한 링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아이패드의 확장된 키보드 행과 자동 완성 텍스트 행을 통해 사용 가능). 문서 링크를 열려면 해당 링크를 두 번 탭하거나, 선택하고 눌러 편집 팝업 메뉴를 불러와서 “링크 열기”를 선택합니다. 최신 버전의 iOS에서는 링크를 길게 눌러 열 수도 있습니다.
• Highlights: Available from the formatting palette and the extended keyboard row.
하이라이트 : 서식 팔레트 및 확장된 키보드 행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nsert Images: Available through the predictive text row (iPad only) and the extended keyboard row.
이미지 삽입 : 자동 완성 텍스트 행(아이패드만 해당) 및 확장된 키보드 행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Formatting Presets/Styles: Available via the formatting palette. If you use the Mac version of Scrivener, you can export your formatting presets from the Mac via the Format > Formatting > Export Presets for iOS… command. You can then import the presets file into the iOS version by placing the exported presets.plist file in Dropbox and using “Open In” from Dropbox.app to open the file in Scrivener. (You can also import your own fonts via Dropbox’s “Open In” feature.)
서식(포맷) 사전 설정/스타일 : 서식 팔레트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c 버전의 스크리브너를 사용하는 경우 서식 > 서식 > iOS용 사전 설정 내보내기... 명령을 통해 Mac에서 서식 사전 설정을 내보낼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내보낸 Presets.plist 파일을 Dropbox에 넣고 Dropbox.app의 "Open In"을 사용하여 스크리브너에서 파일을 열어 사전 설정 파일을 iOS 버전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Dropbox의 "열기" 기능을 통해 자신의 글꼴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If you’re still in editing mode, leave it now by tapping Done, then move on to “Referring to Research” in the editor—if you collapsed “The Editor”, you’ll need to drill down into the subdocuments of “The Editor” by tapping on the chevron-in-a-circle next to it (or expand it again by swiping left on the row and tapping “Expand”).
아직 편집 모드에 있다면 완료를 탭하여 종료한 다음 편집기에서 "Referring to Research“로 이동하세요. "The Editor"를 접었다면 옆에 있는 원 안에 든 》 모양 아이콘을 탭하여 “The Editor"의 하위 문서를 펼쳐야 합니다(또는 행을 왼쪽으로 스와이프하고 “펼치기“를 탭하여 다시 펼치기).
'이것저것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ing Your Place (0) | 2023.10.26 |
---|---|
Referring to Research (0) | 2023.10.25 |
iOS Scrivener Tutorial 해석 The Editor (2) (0) | 2023.10.23 |
아이패드 스크리브너(iOS Scrivener) 튜토리얼 해석 The Editor (1) (0) | 2023.10.22 |
Working with Documents (2)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