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Scrivener? 스크리브너는 무엇입니까?
Scrivener is aimed at writers of all stripes—novelists, journalists, academics, screenwriters, playwrights—who need to structure a long piece of text. Scrivener is a ring-binder, a scrapbook, a corkboard, an outliner and a text editor all rolled into one. It is primarily intended as a first draft tool, a kind of writer’s shed for those of us who don’t have a spare shed.
스크리브너는 긴 텍스트를 구성할 필요가 있는 소설가, 언론인, 학자, 시나리오 작가, 극작가 등 모든 분야의 작가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스크리브너는 링 바인더, 스크랩북, 코르크 보드, 아웃라이너, 텍스트 편집기(에디터)를 합쳐서 하나로 만든 것입니다. 이것의 의도는 주로 초안 작성 도구로 사용하는 것인데, 예비 창고가 없는 우리를 위한 일종의 작업장입니다.
Below you’ll find a brief survey of the key concepts behind Scrivener—the ideas that led me to drop my pen, learn programming, and create Scrivener in the first place. If you’re a user of the desktop version, you’re no doubt familiar with much of this already, in which case you can happily skip this section (or you can skip it grumpily—in Scrivener, how you work is entirely up to you).
아래에서는 제가 펜을 내려두고 프로그래밍을 배워 스크리브너를 만들게 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스크리브너의 핵심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데스크톱 버전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이미 이 부분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섹션을 건너뛰어도 됩니다(스크리브너의 경우 작업 방식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Writing 쓰기
Conventional word processors are wonderful for all kinds of things, but I’ve always struggled with them when it comes to writing long texts, because I like to jump around, writing different sections as they come to me. Scrivener makes it easy to compose in any order you want, whether that’s from start to finish or completely at random.
기존의 워드프로세서는 훌륭하지만, 저는 긴 글을 쓸 때는 항상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섹션과 섹션을 이동해가며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스크리브너를 사용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글의 순서대로 작성할 수도 있고, 또는 완전히 무작위로 원하는 순서대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Word processors only ever know about the document you’re working on at any one time—if you have lots of different documents pertaining to a single project, it’s up to you to keep track of them. By contrast, Scrivener is a project-based app, and each project you create in Scrivener can contain as many documents as you desire. This means that you can write in chunks as large or small as you wish. If you’re writing a novel, for instance, you could write each chapter in a separate document, or you could break it down further and write each scene in a different document—it’s up to you. When you come to export or print your work, all of those myriad sections can be compiled into a single document.
워드 프로세서는 한 번에 작업 중인 있는 문서에 대해서만 알고 있으므로, 단일 프로젝트와 관련된 수많은 문서가 있는 경우 문서를 추적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입니다. 대조적으로, 스크리브너는 프로젝트 기반 앱이며, 스크리브너에서 만드는 각 프로젝트에는 원하는 만큼의 문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만큼 크거나 작은 덩어리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설을 쓰고 있다면, 각 챕터를 별도의 문서로 작성할 수도 있고, 더 자세히 나누어 각각의 장면을 다른 문서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당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작업물을 내보내거나 인쇄할 때 수많은 섹션을 모두 하나의 문서로 컴파일할 수 있습니다.
'이것저것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y Concepts (4) (0) | 2023.10.13 |
---|---|
Key Concepts (3) (0) | 2023.10.12 |
Key Concepts (2) (0) | 2023.10.11 |
아이패드 스크리브너 해석 - 1. Start Here (0) | 2023.10.10 |
아이패드 스크리브너(iOS Scrivener) 튜토리얼 한글 해석 (0)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