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배우기

Key Concepts (4)

by Daltteure 2023. 10. 13.
반응형

Outlining 아웃라이닝 (2)

 

Every document in a Scrivener project is associated with a synopsis and notes (assigned using the inspector). You can turn synopses on in the sidebar to get a more detailed overview of your outline. When running Scrivener on an iPad, you also have access to the corkboard, which shows the title and synopsis of each document inside any given folder. You can assign synopses manually, or leave them blank, in which case the first lines of the text are shown. This makes it easy to get an overview of your work, and to restructure it via drag and drop.

스크리브너 프로젝트의 모든 문서는 (인스펙터를 사용하여 부여된) 시놉시스 및 노트와 연결됩니다. 사이드바에서 시놉시스를 켜면 개요를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에서 스크리브너를 실행한다면, 특정 폴더 안에 있는 각 문서의 제목과 시놉시스를 보여주는 코르크 보드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시놉시스를 수동으로 지정하거나 공백으로 둘 수 있으며, 이 경우 텍스트의 첫 번째 줄이 표시됩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개관을 쉽게 확인하고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If the idea of outlines makes you shudder, never fear: Scrivener imposes no fixed approach to writing and outlining. You might start by creating a bunch of folders and empty text files, creating synopses for each one on the corkboard or in the sidebar. Then you might go through and fill in the text files, referring to the synopses as a prompt for what you need to write. Conversely, you might write like crazy and worry about all the structural stuff only when your first draft is complete. In that case, you can just write away, creating new text documents as and when you feel like it, and you can split things apart and rearrange everything only much later in the process. Or you can use a combination of both methods. Most importantly, though, always remember that you can just ignore anything you don’t need.

개요(outlines)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스크리브너는 글쓰기와 개요(outlining)에 대해 고정된 접근 방식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여러 폴더와 빈 텍스트 파일을 만들고, 코르크 보드 또는 사이드바에 있는 각각의 파일에 대한 시놉시스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작성해야 할 내용에 대한 프롬프트로 시놉시스를 참조하여 텍스트 파일을 작성하고 채울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친 듯이 글을 써서 첫 번째 초안이 완성된 후에야 모든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걱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원할 때마다 새로운 텍스트 문서를 만들어서 글을 써나간 후, 작업 후반부에 항목을 분할하고 모든 것을 재배치할 수 있습니다. 또는 두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여러분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무엇이든 무시할 수 있는 점을 항상 기억하세요.

 

“That’s all very well,” I hear you declaim, “but I didn’t come here for an advertorial. Just get on with it and tell me how you use the thing already.” Right-oh! To get started, tap on the “Draft” folder in the sidebar to drill down into it, and then select the document entitled “The Basics”. See you there!

당신이 “다 좋아요. 하지만 저는 광고를 보러 온 게 아니에요. 어떻게 사용하는지 말해주세요.”라고 말하는 것이 들리네요. 그렇죠-오! 시작하려면 사이드바에서 “Draft” 폴더를 탭하여 하위 항목을 열어 “The Basics"라는 제목의 문서를 선택하세요. 거기서 봅시다!

반응형

'이것저것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Basics (2)  (0) 2023.10.15
The Basics (1)  (0) 2023.10.14
Key Concepts (3)  (0) 2023.10.12
Key Concepts (2)  (0) 2023.10.11
Key Concepts (1)  (0) 2023.10.11